현대 사회에서의 와이파이는 현대인들의 필수가 된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와이파이는 많은 기기를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기술이지만 와이파이의 작동법과 원리를 이해하는 사람은 일부일 것입니다.이번 시간에는 와이파이의 원리와 보안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와이파이의 뜻
우선 와이파이의 뜻 부터 말씀드리자면 무선(Wireless) 과 신뢰성, 충성도(Fidelity)입니다. 무선으로 인터넷을 송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인터넷 신호를 전송하는 랜선과 이를 무선 라우터에 연결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을 수신할 수 있게 됩니다. 주로 2.4GHz와 5GHz 두가지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동됩니다.
2. 와이파이의 구성 요소
와이파이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게 무선 라우터, 무선 네트워크 어뎁터, 모뎀, 엑세스 포인트 이렇게 4가지가 무엇인지부터 설명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2.1 무선라우터
무선 라우터는 ISP(인터넷 제공 통신사)로 부터 신호를 송신받아 무선 신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모든 기기들이 라우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무선 라우터는 인터넷에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2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 폰, PC, 노트북, 태블릿에는 무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 어댑터가 없다면 무선 인터넷 신호를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접속 자체가 불가능 하게 됩니다.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는 무선 인터넷 신호를 데이터로 변경하여주는 것이 가장 주요 역할입니다.
2.3 모뎀
모뎀은 인터넷에서 주는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해서 라우터로 보내줍니다. 하지만 최근 모뎀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모뎀보다 더 좋은 대체 기기가 나왔다기보다는 모뎀과 라우터가 일체화되어있기 때문입니다.
2.4 엑세스 포인트
대기업 혹은 많은 네트워크 사용량을 요할때에는 한개가 아닌 많은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이 대부분 입니다. 이렇게 엑세스 포인트를 넓히게 되면 안정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와이파이는 어떻게 작동할까?
3.1 인터넷 연결
와이파이의 시작은 당연히 인터넷 연결입니다. ISP 즉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통신사)에서 인터넷을 연결이 되어야 이를 무선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터넷이 되어야 합니다.
3.2 무선신호 만들어 전송까지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라우터에 보내며 라우터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로 변화시켜 2.4GHz 혹은 5GHz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합니다. 2.4GHz는 속도가 5GHz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범위가 넓고 송출되는 전파가 벽을 통과하기 쉽다는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5GHz는 속도는 2.4GHz보다 빠르지만 송출 범위가 크지 않고 벽이 있다면 연결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3.3 전송된 신호 받기와 신호 주기
앞서 말씀드렸듯 기기들은 모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신호를 받는 과정이 완료되면 끝나는 것이 아닌 반대로 기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 또한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모뎀을 이용해 통신사에 전달이 되며 인터넷으로 한번 더 전송됩니다. 이렇게 신호 주기와 받기가 반복되며 인터넷의 기본과정이 완료되는 것입니다.
4. 와이파이 보안의 중요성
와이파이는 사용하기 편한만큼 취약점도 명확히 존재합니다. 이러한 취약점을 보안하지 않는다면 해킹이나 인터넷을 통한 공격 즉 트로이 목마, 피싱, 각종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되기 쉽습니다. 아래는 인터넷에서의 보안 강화를 위해 습관적으로 실행하시면 보안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4.1 비밀번호 6개월에 한번씩 변경하기
최근 특정 웹사이트에서는 1년에 한번 씩 비밀번호를 강제적으로 변경하는 룰을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는 습관은 보안 강화에 큰 도움이 되지만, 너무 자주 변경한다면 바꾼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6개월에 한번씩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4.2 백신 프로그램 사용하기
우리나라는 대부분 무료 백신프로그램인 V3나 알약을 통해 보안강화를 합니다. 유료 프로그램으로는 시만텍 사의 노턴 안티 바이러스, 카스퍼스키 안티 바이러스, 아바스트 안티 바이러스 등이 유명한 백신 프로그램으로 손꼽힙니다. 하지만 무료, 유료 모든 백신 프로그램도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 결국 사용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을 자주 업데이트 하고 본인의 컴퓨터를 스캔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악성코드, 랜섬웨어, 피싱 등에 방어가 가능합니다.
4.3 VPN 사용하기
만약 까페나 도서관,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를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해야 한다면 VPN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VPN은 가상 사설망을 뜻하며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안정적으로 나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많은 사람들이 와이파이를 친숙하게 이용하고 있지만 어떻게 작동이 되는지, 보안 강화를 위해서 어떤 습관을 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최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많은 사건과 사고들이 일어나며 이를 해결할 대처 방법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무선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지 인지하고 계신다면 속수무책으로 바이러스나 피싱 등을 당할 확률을 줄이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